FORUM
블로그
다면평가 실시 후 평가대상자뿐 아니라 평가자도 분석이 필요하다고요?
- 2023-06-02
- 306
성공적인 다면평가 운영을 위한 step 5
일반적으로 다면평가는 평가대상자를 기준해서 분석하는데, 서구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평가자 분석을 통해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평가자 분석은 한 평가자가 다른 평가자들과 얼마나 상이한 평가를 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보다 책임감을 갖고 정직한 평가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평가자들이 본인이 적절하게 평가를 했는지 궁금해하기도 하므로 평가자 분석은 올바른 평가를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평가자 피드백 리포트는 평가자 본인에게만 제공하며 평가대상자에게는 비밀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평가자별 분석은 종종 공모한 관대화 경향을 잡아내기도 하기에 인사팀에서는 이 리포트를 활용하여 평가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평가자 피드백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어떤 평가자가 평가대상자 김**, 이**, 박**, 최**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다른 평가자들에 비해 일정 범위 이상 높은 점수를 주었는지, 혹은 낮은 점수를 주었는지를 요약하는 표입니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김** |
|
L |
|
|
|
|
|
|
|
|
N/A |
|
|
|
|
이** |
L |
L |
|
|
|
|
|
|
|
|
N/A |
|
|
|
|
박** |
|
|
|
|
|
|
|
|
|
|
|
|
|
|
|
최** |
|
|
|
|
|
|
H |
|
|
|
|
H |
|
|
|
합계(전체 %) High 2(3.3%) Low 3(5.0%) N/A 2(3.3%)
위 사례에서 'H'(=High)는 해당 평가자가 평균 대비 20% 이상 높은 점수를 주었을 때 표시하고, 'L'(=Low)는 평가자가 평균 대비 20% 이상 낮은 점수를 주었을 때 표시합니다. ‘N/A'(=Not Applicable)는 평가자가 평가하지 않은 문항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이 평가자는 전체 60 문항 중에서 약 12% 이내에만 이상 응답을 했으므로 양호한 평가를 한 셈입니다. 만일 전체에서 20% 이상이 H, L, N/A에 해당한다면 세부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후는 정책적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대개는 어떤 평가자의 이상 응답이 과도하게 많으면 무효로 처리하고 그 평가자의 평가는 결과 산출에서 제외합니다. 경우에 따라 이상 응답 평가자의 명단을 공개하거나, 인사위원회에 회부하기도 합니다.

이 평가자 리포트는 평가 문항별로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특정 문항에 여러 평가자가 이상 응답을 보였다면 해당 문항은 좋지 않은 문항일 가능성이 큽니다. 좋지 않은 문항은 총점 합산에서 제외하거나 추후 평가 문항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가대상자 분석에만 그치지 않고 평가자 분석을 도입함으로써 올바른 다면평가가 이루어졌는지 검증하고, 개선점을 보완하여 조직의 장기적 발전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다면평가를 진행해보면 좋겠습니다.
(최종 검토: 김은지 컨설턴트)
이미지 출처: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