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다면평가 실시 후 사후분석에서는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 2023-06-02
  • 370

성공적인 다면평가 운영을 위한 step 4 

 

 


 

 

이번 글에서는 다면평가를 실시한 후 사후분석에서는 무엇을 확인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관련 글] 회사에 다면평가를 실시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계획하면 좋을까요?

 

[관련 글] 다면평가에 사용할 질문은 어떻게 만들면 좋을까요?

 

 [안전장치로서의 사후분석과 평가자 분석]

 

여기서 사후분석은 흔히 하는 조직간 분석이나 직급별 분석 등을 의미하기보다는, 다면평가 자체의 품질이 어떠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면평가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1. 전체 평가자의 80% 이상이 응답해야 한다.

  2. 전체 평가대상자의 95% 이상이 결과표를 받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

  3. 응답자의 과반이 10점 척도에서 4점 이상의 범위를 보이며 응답해야 한다.

  4. 평가자간 일치도가 70% 이상이어야 한다.

  5. 다른 응답자와 20퍼센트 이상 차이가 나는 특이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5% 이내여야 한다.

  6. 극단한 값으로만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5% 이하여야 한다.



 


 

 

다만, 응답을 하도록 여러 차례 평가자에게 알리더라도 실제 시행된 응답률이 80% 미만인 경우가 상당히 있습니다. 이 경우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더라도 사후분석을 통해 경향성을 참고해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평가자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 설문 등을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개선사항을 정리하면 좀 더 조직상황에 적합한 다면평가 진행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한편 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 방식 안내가 미흡했거나 평가자가 올바르게 참여하지 않았는지(피평가자에 대한 개인적 감정이나 조직에 대한 불만 등에 기반한 미참여)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경우에 따라 평가 조정위원회 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아닌 사례는 결과 분석값에서 제외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겠습니다.

 

 

 

 

(최종 검토: 이동욱 선임컨설턴트)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831170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