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리더십진단 검사와 다면평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2023-06-01
  • 680

리더십진단 검사와 다면평가는 모두 중간관리자나 관리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입니다. 여기서는 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관련 글] '선택형 다면평가'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가요?

차이점을 살펴보기 전에 공통점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두 도구는 서로 비슷한 평가 항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 다 조직에서 리더로서의 성공과 실패 요인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그리고 실제 평가 결과를 놓고 보아도 같은 평가대상자에 대해서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서로 간에 크게 차이가 나는 평가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왜 이런 사례가 생기는지, 어떤 실천적 함의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자료수집의 주체와 방법이 다릅니다.

 

리더십진단 검사는 대개 대상자 본인의 자기보고(Self-report)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이에 비해 다면평가는 대상자의 주위 사람들이 평소에 관찰한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자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언뜻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어떤 사람의 특성에 대해 자료를 수집할 때 자기보고식보다 관찰식이 훨씬 객관적이고 정확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제 많은 연구를 보면 반드시 그렇지는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어떻게 설계되었느냐에 따라 자기보고식이 더 정확하다는 것이 정설이기도 합니다.

 

 


 

 

타인의 관찰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의 경우 제대로 된 결과를 얻으려면 크게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우선 평가 설계를 잘 해야 합니다. 평가자들이 체계적으로 평가 대상을 관찰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질문을 설계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평가자를 충분히 훈련해야 합니다. 평가의 목적, 방법, 유의사항 등을 잘 훈련해야 합니다. 

 

많은 조직에서 다면평가 결과를 신뢰하지 못하고, 평가대상자조차 결과를 잘 수용하지 않는 것은 설계와 교육이 충분히 잘 되지 않은 다면평가를 운영하고 있어서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둘째,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의 성격이 다릅니다. 

 

리더십진단 검사는 대개 상대적으로 관찰이 어려운 개인의 심층적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보고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면평가는 다른 사람의 관찰에 기초해야 하기 때문에 애초에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한 행동 중심으로 측정 항목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셋째, 시행 주기가 다릅니다. 

 

리더십진단 검사가 측정하는 항목은 관찰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단기간에 잘 변화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면평가는 관찰이 가능하고 비교적 단기간에 변화가능한 특성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시행 주기도 차이가 있습니다. 리더십진단 검사는 3년 내지 5년 정도에 한 번씩 해보면 충분하다고 볼 수 있지만, 다면평가는 많은 조직에서 1년에 1~2회 정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리더십진단 검사나 다면평가는 평가하는 항목명에서 공통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고 일반적으로는 상관계수도 작지 않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다면평가의 경우 설계와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히려 부정확하고, 수용하기 어려운 결과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두 가지 도구는 각각 나름의 장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적절한 주기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종 검토: 최희경 파트너)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764556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