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선택형 다면평가'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가요?
  • 2023-06-01
  • 565

일반적인 다면평가에서는 많은 항목이나 진술문이 제시되고 각 진술문에 대해 평가자가 점수를 부여해야 합니다.  

 

그에 비해 ‘선택형 다면평가’에서는 평가자가 점수를 매기는 게 아니라, 주어진 평가 항목들 중에서 평가대상자의 상대적 강점과 약점 몇 개를 고르고, 평가대상자에게 중요한 역량과 중요하지 않은 역량 몇 개만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선택형 다면평가는 평가자에게는 평가대상자의 특성에 대해 판단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물론 선택형 다면평가를 할 때에도 주관식 문항을 옵션으로 추가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 선택형 다면평가는 평가대상자에게는 강약점을 한 눈에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단순화된 결과표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BSC에서 제공하는 선택형 다면평가 결과표 중 강약점 인식 종합 분석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평가대상자의 강·약점에 대한 관점을 서로 비교하여 매트릭스로 표시한 것입니다. 역량명 옆의 괄호 안에 있는 두 숫자는 이를 각각 강점과 약점으로 언급한 평가자의 수입니다. 예를 들어 (1,2)는 해당 역량을 전체 평가자 중 1명은 평가대상자의 강점으로, 2명은 약점으로 선택한 것입니다.



여기서 붉은 색 칸은 평가대상자와 평가자의 의견이 일치하는 역량, 파란색 칸은 의견이 크게 차이 나는 역량입니다. 해당 매트릭스를 통해서 평소 평가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던 강점과 약점은 물론, 평가대상자가 몰랐던 강점(Hidden strength)과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약점(Blindspot)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평가대상자를 가장 잘 나타내는 장점은 실행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친밀성, 글로벌 마인드, 자기통제는 약점이 확실해 보입니다. 자신은 신뢰성과 혁신도 강점이라고 생각하지만, 주위 사람들의 의견은 엇갈립니다.


한편 주위 사람들 가운데는 평가자의 특성 가운데 문제해결, 시간관리 등등을 강점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제법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많은 평가자가 긍정성을 평가대상자의 약점으로 선택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렇듯 선택형 다면평가를 하게 되면 평가대상자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강약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고, 많은 경우에 행동 변화를 위한 동기부여로 이어지게 됩니다.


선택형 다면평가를 하면서 또다른 부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바로 평가자도 평가대상자의 장점과 약점에 대해 골고루 생각해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평소 평가대상자에 대해 좋게만 평가하던 사람도 평가대상자의 상대적 약점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게 되고, 또 평가대상자에 대해 나쁜 감정을 품고 있던 사람도 평가대상자의 강점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할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조직문화 개선에 선택형 다면평가 실행 자체가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선택형 다면평가를 실시하면 이 외에도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매트릭스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 중요성이나 강약점 관련해서 평가자별 세부 리포트를 통해 상사, 동료, 부하의 인식과 자신의 인식의 갭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선택형 다면평가를 통상적인 일반형 다면평가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선택형

일반형

결과표

강/약점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단순한 표 형태

총점, 또는 역량 점수 나열

피드백/디브리핑 시간

빠른 피드백 가능

디브리핑에 많은 시간 소요

평가자 집중

평가대상자의 장점과 약점을 고루 고려하게 됨

각 평가 항목에 대해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평가하게 됨

관대화 경향

나타나기 어려움

피하기 어려움

활용

신선한 시도와 객관적 인상으로 행동변화를 위한 동기부여

육성 목적 외에 다양한 목적 활용 가능 

 

 

위 표에서 보듯이 선택형 다면평가는 평가자나 평가대상자가 부담 없이 평가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뚜렷합니다.

 

 

 

 

 

또 일반적 다면평가에서 나타나는 관대화경향을 피할 수 있고, 참신한 방법과 결과표 양식 덕분에 육성 차원에서 조직에서 무엇인가 새로운 것이 시작되고 있다는 임팩트를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선택형 다면평가는 아무래도 정량적 데이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벤치마크 집단과의 비교가 불가능하다든지, 수년간 추이 관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 다면평가의 한계를 느낀다면 새로운 시작, 새로운 대안으로 선택형 다면평가가 조직에 신선함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최종 검토: 염혜윤 컨설턴트)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736907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