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고객서비스 팀 중간 리더 후보자 상담 사례
  • 2023-07-13
  • 289

 


 

 

 

채용 과정에서 인성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봐도 선발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얼마 전 어느 스타트업에서 고객서비스 팀 중간 리더 후보에 대해 온라인 인성검사를 실시하고 상담을 한 사례가 있습니다. 그 회사는 교육사업을 하고 있고, 고객서비스 팀의 중간 리더 역할을 할 사람을 찾고 있었습니다. 후보자는 교육업체에서 기획 업무를 한 경험을 갖고 있었습니다. 면접을 했을 때 업무에 대한 이해도는 있는 듯했는데, 채용 담당자는 후보자가 팀 중간 리더로서 잘 기능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을 궁금해 했습니다.

 

 

 

 [관련 글] 인성검사 결과로 합격 여부를 정해 줄 수는 없나요?

 

  



 

 

 

인성검사 후 나온 비에스씨 전문가의 내러티브 리포트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주관을 갖고 필요한 의사 표현을 하나, 활력이 약하고 내성적이어서 새로운 만남에 활달하게 나서지는 않는 편이겠다. 겸손하고 소박한 태도로 예의를 갖추며 타인의 심정과 반응을 유심히 살피고 눈치껏 에둘러 말하겠는데, 이견을 선뜻 받아들이지 않고 내심 걱정과 스트레스를 안고 지내며 실질적인 관여와 협조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겠다.

 

명확히 자기 몫으로 수용한 필수 임무는 크게 소홀히 하지 않으려 하나, 책임 범위를 좁게 잡고 현상 유지에 안주하겠다. 예술적 감수성과 지적 호기심을 갖고 관심사에서 모험을 시도하고 효율을 추구하며 자기 나름 디테일을 꼼꼼히 점검하나, 구체적 목표나 계획 없이 주먹구구로 일하고 스트레스에 민감하며 실패를 겪으면 심리적 침체가 긴 편이겠다.

 

말수가 적고 내향적인 편으로 눈치가 빠르고 직언을 피해 갈등을 피하려 하나, 속으로 꽁하고 혼자 전전긍긍하는 면이 있겠다. 관심 업무에 주력해 새로운 경험에 나서고 효율적으로 일하려 하나, 내실 있는 노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이겠다. 의연하고 긍정적인 자세로 다양한 입장을 포용하고 적극적 참여와 성의 있는 협조, 계획적 실행에 힘쓸 필요가 있다.

 

  

 

어떤가요? 독자님이 채용 담당자라면 어떻게 결정하실까요?

 


 

 

 

합리적 결정을 위해서는 중간 리더 직무의 요구 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아가 좀 더 나은 판단을 위해서는 후보자와 함께 일할 상사, 고객, 팔로워 들의 특성도 고려하면 더 좋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후보자가 다소 소심하고 충동적인 면은 있으나, 그래도 자기가 해야 할 말은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고 보고 우선 채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물론 온보딩 과정과 직장 생활을 통해 보다 자신감과 스트레스 내성을 갖도록 주위에서 긍정적으로 지지해 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조언해 주었습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151808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