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인성검사에서 반드시 일관성 있게 답변해야 하나요?
- 2023-06-13
- 1667

채용담당자라면 누구나 인성검사에서 반드시 일관성 있게 답변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아 보았을 듯합니다. BSC의 컨설턴트도 이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시중의 여러 수험서나 수험 관련 유튜버 동영상을 보면 인성검사에서 답변에 일관성이 없으면 탈락한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생성형 AI ChatGPT에게 인성검사에서 반드시 일관성 있게 답변해야만 하는지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이런 답을 내놓는군요.
인성검사에서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인성검사는 개인의 인성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면 결과의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가능한한 정직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같은 질문을 다른 방식으로 묻는 경우에도 일관성 있게 답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나 응답이 조작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검사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진실성과 일관성을 모두 고려하여 답변을 해야 합니다. 검사를 조작하거나 의도적으로 결과를 왜곡하는 것은 응시자에게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ChatGPT의 답변을 이렇게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정직하고 정확하게 답변하라.
다만 진실성과 일관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ChatGPT에게 일관성 있게 답하는 것이 어떻게 응답이 조작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지 추가 질문을 해 봤습니다. 이런 답변이 나옵니다.
일관성 있는 응답은 인성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일관성 있는 응답 자체가 검사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면서 모든 질문에 대해 최상의 답변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그러나, 응시자가 일관성 있는 응답을 위해 질문의 의미를 왜곡하거나 과장하여 응답하는 경우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일관성 있는 응답을 위해 모든 질문에 대해 거짓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검사의 신뢰성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성검사에서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응시자가 진실성과 일관성을 모두 고려하여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검사를 조작하거나 결과를 왜곡하는 것은 응시자에게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똑같은 내용의 답변을 너무 반복하는군요. 그리고 설명도 충분하지는 않습니다. ChatGPT의 전문성은 여기까지인 듯합니다.
성격심리학자 월터 미셸(Walter Mischel)은 일관성 패러독스(consistency paradox)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일관성 패러독스에서는 특성 일관성(trait consistency)과 행동 일관성(behavior consistency)을 구분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한 사람의 어떤 특성이 변하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더라도 행동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말이 많은 아이라도 누군가에게 혼나는 상황에서도 말을 많이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런 비일관성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인성검사에서 지나치게 행동의 일관성에만 초점을 맞춰 응답한다면 응답을 조작한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내친 김에 인성검사에서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쓰는지 ChatGPT에게 질문했습니다.
인성검사에서 응시자의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동일질문 반복검사"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같은 질문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응시자가 일관성 있는 응답을 제공하는지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인성검사에서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하나 이상의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5점 척도를 사용하면, 응시자는 1부터 5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경험, 태도, 행동 등을 평가합니다. 동일질문 반복검사에서는 같은 질문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응시자가 동일한 응답을 제공하는지 확인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종합인성검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양한 성향 및 특성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검사를 결합하여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습니다. 이때, 여러 검사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일관성 있는 패턴을 확인합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일관성을 평가하면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검사에서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검사의 종류나 목적, 응시자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
역시 ChatGPT의 전문성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오래 전에 쓰이던 널리 알려진 상식적인 방법만으로는 각종 채용 관련 정보에 익숙한 요즘의 “약삭빠른” 지원자들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최근의 전문가 집단이 실제로 어떤 방법을 쓰는지가 궁금하시겠지만 이 자리에서 밝히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은 이해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최종 검토: 여슬기 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128564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