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변별력 있는 시험 문제란 무엇일까?
  • 2024-10-31
  • 184

 

 

 

밑줄 및 사진에는 URL이 포함돼 있습니다. 클릭하면 관련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AI Summary ]

시험 문제의 변별력은 단순히 응시자들 사이의 점수 차이를 크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능력이 높은 사람이 정답을 맞히고 능력이 낮은 사람은 틀리도록 설계된 문제를 의미합니다. 변별력 있는 문제는 우수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 더 잘 풀 수 있는 문제를 말합니다.

 

 

 

 

심리 측정학에서는 변별도를 통해 문제의 질을 평가합니다. 변별력이 높은 문제는 높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낮은 능력을 가진 사람보다 정답을 맞힐 확률이 높습니다. 반면, 변별력이 낮은 문제는 능력에 상관없이 정답을 맞힐 가능성이 비슷합니다. 이는 문제가 특정 수준의 능력을 가진 사람들만 맞출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변별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 유형에는 지나치게 쉬운 문제, 지나치게 어려운 문제, 애매하거나 불분명한 문제, 단순 암기형 문제, 지엽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지나치게 쉬운 문제는 대부분의 응시자가 맞히기 때문에 고득점자와 저득점자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지나치게 어려운 문제는 대부분의 응시자가 틀리기 때문에 변별력이 낮습니다. 애매하거나 불분명한 문제는 응시자의 능력보다는 문제의 해석 능력이나 운에 의해 점수가 갈리게 됩니다. 단순 암기형 문제는 응시자의 사고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지 않기 때문에 변별력이 낮습니다. 지엽적인 문제는 응시자의 핵심적인 능력을 평가하지 못해 변별력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를 포함해 문제 난이도의 균형을 유지하고, 단순 지식 외에 개념의 이해와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를 출제하며, 애매모호하지 않고 명확하고 일관된 문제를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지엽적인 내용을 지양하고, 시험 후에 변별력 분석 도구를 활용해 문제의 변별도를 평가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진정한 변별력은 응시자의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우수한 사람을 선별할 수 있는지에 있습니다. 지나치게 쉽거나 어렵고, 지엽적인 문제는 변별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시험을 설계할 때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해 문제를 구성하고, 응시자들의 능력을 균형 있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 블로그를 참조하세요.

https://blog.naver.com/bsc_hr/223622356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