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지원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 아닐까요?
- 2024-04-30
- 171
[ AI 요약 ]
채용 면접에서 지원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거짓말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흔히 신체 언어나 얼굴 표정의 변화를 통해 거짓말을 발견하려고 하지만, 이러한 신호들이 항상 신뢰할 만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은 모니카 르윈스키 사건 당시 코 주변을 만지면서 말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피노키오 효과'로 알려진 것으로 거짓말을 할 때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거짓말을 할 때 코를 잘 만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눈 깜빡임, 눈동자 움직임, 말의 톤 변화 등도 거짓말 탐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 또한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닙니다.
- 주의 깊게 듣고 신중하게 관찰하기
따라서 실제로는 대화 내용과 상황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원자의 말이 일관되지 않거나 모순된 점이 있는지,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이 신뢰할 만한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믿을 만한 증거를 통해 사실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채용 면접에서는 지원자의 능력과 성격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나 거짓말을 감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신중한 접근과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거짓말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지만, 이를 통해 상대방을 신뢰하고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428193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