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인성검사 내러티브 리포트가 뭔가요?
  • 2023-06-07
  • 304



 


인성검사는 대체로 사람의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성격 특성’은 Big 5 이론이나 헥사코(HEXACO) 모형을 따르기도 하고, 미국 노동부에서 제안하는 작업 스타일(Work Style) 요인을 따르기도 합니다. ‘측정’이란, 어떤 특성에 대한 분류명이나 숫자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종합하면 인성검사는 사람의 성격 특성을 유형이나 숫자로 표현하게 됩니다. 

 

[관련 글] 인성검사에서 탈락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몇 퍼센트나 탈락하나요?

기업에서 인성검사를 활용할 때는 유형이나 숫자로 나온 결과에 기반해서 큰 틀의 의사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그런데 유형이나 숫자만 봐서는 한 개인의 특성을 과도하게 일반화하거나 단순화하거나 또는 오해하는 경우도 생기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보다 신중한 판단을 위해서는 1차 면접이나 2차 면접의 대상자에 대해 각 개인별 상세 해석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검사 결과를 인성검사 전문가가 분석해서 각 대상자의 특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형으로 풀어쓴 결과표를 내러티브 리포트라고 하는데요, 가상의 예를 들면 이런 내용입니다. 

 

<내러티브 리포트 예>

 

강한 활력과 자신감을 갖고 각양각색의 사람들과 교류하며 자기 입장이 있으면 강하게 주장하고 전체 방향을 끌고 가려 하겠다. 성공과 출세에 대한 야심이 강한 편으로 주위 눈치를 빠르게 살펴 예의와 형식을 갖추고 낙천적이고 친절한 태도로 진솔하게 소통한다고 하나, 특권의식이 강한 편으로 관여와 협조에 매우 몸을 사리며 의존적 성향을 보이겠다.



역할과 도리에 강한 의무감을 품고 사회적 규범과 약속을 정직하게 지키려 하겠다. 어지간한 스트레스나 실패에 굴하지 않고 목표한 바는 손에 넣으려 하겠으며, 강한 지적 호기심과 고도의 글로벌 마인드를 바탕으로 변화와 모험을 시도하고 실력 향상에 힘쓰겠다. 다만 계획성 없이 일하며 디테일에 매우 허술해 주위에 부담을 주겠다.



 

낙천적이고 친절한 태도로 폭넓게 교류하며 강한 지적 호기심과 고도의 글로벌 마인드를 바탕으로 자기가 원하는 바를 손에 넣고 실력도 갖출 것으로 응답했으나, 과장반응 경향이 강해 결과를 그대로 신뢰하기 어렵다. 욕심과 자부심을 내려놓고 겸손한 자세로 자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지, 전체 계획을 존중하며 책임감을 갖고 정확하게 일할지 검증해야겠다.

 


 

 

물론 위와 같은 내러티브 리포트는 상당 기간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가만이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내러티브 리포트를 면접관이나 경영진이 보고 면접에 참고할 수도 있고, 최종 선발 결정이나 배치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러티브 리포트의 내용을 잘 분석해 보면 Job offer 미팅이나 온보딩(Onboarding)에도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원자의 특성을 과학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인사관리에 임한다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최종 검토: 여슬기 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0326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