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문항반응이론(IRT)으로 심리검사 개발하기
- 2025-02-20
- 129
밑줄 및 사진에는 URL이 포함돼 있습니다. 클릭하면 관련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AI Summary ]
안녕하세요! 오늘은 심리검사와 교육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항반응이론(IR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IRT를 활용해 정밀한 검사를 개발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문항반응이론(IRT)은 문항과 응답자의 능력 수준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통계적 방법론입니다. 기존의 고전검사이론(CRT)과 비교했을 때, 각각의 문항 특성을 매우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IRT를 적용하려면 두 가지 핵심 가정을 충족해야 합니다. 첫째, 일차원성(Unidimensionality)입니다. 검사가 하나의 잠재특성만을 측정해야 하며, 예를 들어 수학 능력 검사라면 순수하게 '수학적 능력'만 측정해야 합니다. 둘째, 지역독립성(Local Independence)입니다. 동일한 능력 수준에서 한 문항의 응답이 다른 문항의 응답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이 두 가정이 충족되지 않으면 IRT 모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IRT를 활용한 검사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무엇을 측정할 것인지 명확히 정해야 합니다. 지능, 성격, 직무 능력, 학업 성취도 등 측정 대상을 정의합니다. 다음으로,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을 포함한 문항 풀(Item Pool)을 만듭니다. 문항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하고, 응답자의 편향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작성한 문항들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검토와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후 적합한 IRT 모델을 선택합니다. 1PL 모델(라쉬 모델), 2PL 모델, 3PL 모델 등이 있으며, 각 모델은 문항의 곤란도, 변별도, 추측도를 고려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분석을 위해 최소 200~500명 이상의 표본을 수집하고, R, IRTPRO, Mplus 등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합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문항을 선택하고 검사를 구성합니다. 정보 함수를 활용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합니다.
컴퓨터 기반 적응형 검사(CAT)를 구현하면 응답자의 수준에 맞는 문항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검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며 문항의 품질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RT는 문항 하나하나를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기존 고전검사이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특히 CAT와 결합하면 응답자 맞춤형 검사까지 구현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합니다. 다만 IRT를 활용하려면 두 가지 핵심 가정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따라가면 충분히 좋은 검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 블로그를 참조하세요
https://blog.naver.com/bsc_hr/223740173072